카테고리 없음

유튜브 수익은 종합소득세 얼마나 내야 할까? 대상, 세금 줄이는 방법

news222 2025. 5. 14. 18:17

 

유튜브로 얻은 수익, 종합소득세 얼마나 내야 할까?

최근 유튜브 영상이나 쇼츠 등으로 수익을 얻는 분들이 해마다 증가하면서, 특히 구글 애드센스 수익, 슈퍼챗, 협찬 등 다양한 수익이 생기다 보니, 종합소득세 신고가 필수입니다. 오늘은 유튜브 수익에 대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과 세율, 주의사항까지 정확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
종합소득세 신고 대상과 시기

  • 신고 대상: 모든 유튜브 수익자 (금액 관계없이)
  • 신고 기간: 매년 5월 1일 ~ 5월 31일
  • 과세 대상: 애드센스 수익, 슈퍼챗, 협찬, 광고료, 강연, 출판 수익 등

※ 1년 동안 발생한 유튜브 수익은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신고해야 합니다.

 


사업자 등록은 꼭 해야 할까?

유튜브 활동이 단발성이 아니라 지속적인 수익 활동이라면 사업자 등록을 권장합니다.

  • 미디어 콘텐츠 창작업 (업종코드 921505): 과세사업자 – 부가세 + 종합소득세 신고
  •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 (업종코드 940306): 면세사업자 – 종합소득세만 신고

구글 애드센스 수익국외 용역이므로 부가가치세 영세율(0%) 적용 대상입니다.

하지만 국내 광고나 협찬 수익은 과세 대상이므로 반드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
종합소득세 세율표 (2024년 기준)

과세표준 (연간 순이익) 세율 누진공제액
1,200만 원 이하 6% 0원
1,200만 원 ~ 4,600만 원 15% 108만 원
4,600만 원 ~ 8,800만 원 24% 522만 원
8,800만 원 ~ 1억 5,000만 원 35% 1,490만 원
1억 5,000만 원 ~ 3억 원 38% 1,940만 원
3억 원 ~ 5억 원 40% 2,540만 원
5억 원 ~ 10억 원 42% 3,540만 원
10억 원 초과 45% 6,540만 원

 

예: 순이익이 3,000만 원이라면 15% 세율로 계산되며, 누진공제 108만 원 차감 후 세액 산출

 


세금 줄이는 방법은?

  • 필요경비 공제: 카메라, 마이크, 편집툴, 통신비 등 유튜브 운영에 들어간 비용은 경비로 처리 가능
  • 세무대리인 이용: 연소득 3천만 원 이상이라면 전문가 상담 추천
  • 사업자 등록 혜택: 세금계산서 발행, 부가세 환급, 비용처리 유리
  •  

신고 누락 시 주의사항

  • 무신고 가산세: 산출세액의 20%
  • 납부불성실 가산세: 1일당 0.025%
  • 지속 누락 시 세무조사 대상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  • 유튜브 수익은 무조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
  • 세금은 수익구조에 따라 6~45% 누진세율 적용
  • 사업자 등록을 하면 세금관리와 경비처리가 훨씬 유리함
  • 신고 시점(5월) 놓치면 가산세 발생할 수 있으니 꼭 챙기세요!

 

#유튜브수익신고 #종합소득세계산법 #1인미디어세금 #애드센스종합소득세 #유튜버사업자등록 #유튜브세무신고 #소득세율표 #부가가치세면세사업자 #세금계산기 #유튜브창작자세금

반응형